여의도에 이런 곳이? 전국 최초 생태공원, 여의도샛강생태공원

국내 최초 생태공원

평일 점심시간, 볼 일이 있어 오랜만에 여의도를 찾았다가 마침 주차한 곳이 샛강생태공원 옆 이어서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을 들렀다.

한강공원이야 너무나도 잘 알려진 곳이라 설명이 필요 없지만, 서울에 오래도록 살면서 이런 곳이 있다는 존재 자체를 처음 알게된 것.  탁 트인 전망의 한강 둔치와 다르게 샛강생태공원은 크게 손대지 않은 자연 호안에 크고 작은 나무들로 우거진 숲의 느낌이다.  

햇볕이 잘 들지 않아 무더운 날임에도 볕을 피해 시원한 바람을 가르며 걸을 수 있는 곳이다. 마침 이곳을 찾은 날에 홀로 혹은 두어 명 정도가 산책 중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고요한 분위기 속 걷기에 안성맞춤이다.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은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1996년부터 조성한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국내에서만 자라는 토종 식물(부들, 미나리, 옥잠화 등)을 관찰할 수 있고 도심에서 잘 볼 수 없는 새들의 보금자리라고 한다.

한강 경관 조망하고 습지와 버들숲 구경

여의돋샛강생태공원의 주요 시설은 △ 여의경관구역 △ 수질정화습지지역 △ 생태체험학습지역 △ 버들문화구역 △ 생태보존구역 5개로 나뉜다.

먼저, ‘여의경관구역은 여의도 샛강 상류 한강본류부 400m 지점에 위치한 곳으로 한강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초지와 잔디마당, 파크골프장, 산책로로 이루어져 있다.

수질정화습지지역63빌딩부터 여의교 지점에 이르는 곳으로 다양한 습지가 있어 샛강 생태공원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다.

여의도에서 서울교에 이르는 생태체험학습지역은 생태 수로와 버들숲으로 이루어져 생태 학습이 가능하다. 방문했던 샛강생태공원은 바로 이 생태체험학습지역에 해당한다.

서울교에서부터 파천교에 이르는 구간은 버들문화구역으로 여의도 공원과 연결돼 있어 쉼의 공간과 함께 버들광장, 창포원, 물억새 군락을 관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태보존 구역은 파천교에서 국회의사당에 이르는 지역으로, 보존 지구로 선정돼 있어 폐쇄형 습지가 보존되어 있다.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은 자연 환경을 최대한 살려 조성됐고 인근 지하철에서 나오는 지하수를 이용해 계류 폭포와 연못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인공을 걷어내고 최대한 자연에 가깝게 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지금이야 생태공원이 전국 도처에 널렸지만, 1996년 개발과 발전에 열 올리던 사회 분위기와는 거리가 있는 정책이었으니 말이다.

여의도 성모병원과 여의도 침례교회, 진주아파트 단지가 길 하나를 두고 있다. 인근에 9호선 샛강역과 5호선 여의도역이 있으니 가벼운 차림으로 산책하거나 조용하게 쉬고 싶을 때 찾아보면 좋을 듯하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